자료실/실천문학의 작가들

실천문학 작가목록 <ㅈ>

실천문학 2013. 8. 8. 13:17

 

 

 

 

 


장성규
(지은이)

 

 

 

 

 

 

사막에서 리얼리즘

1978년 서울에서 태어났다. 성균관대 인문학부를 졸업하고 서울대 국문과 박사과정을 수료했다. 2007년 『경향신문』신춘문예 평론 부문에 「리얼리티를 탐색하는 세 가지 형식」이 당선되어 등단했다. 가톨릭대, 경기대, 광운대, 중앙대 등에서 문학과 글쓰기를 가르쳐왔다. 현재 한국작가회의 산하 민족문학연구소 연구원으로 활동 중이다. 함께 쓴 책으로 『식민지 근대의 뜨거운 만화경』, 『박태원 문학 연구의 재인식』등이 있다. 리얼리즘의 급진적 재구성이라는 미학적 ․ 실천적 과제에 관심이 많다. 비루한 현실을 직시하면서도, 동시에 그 너머 다른 현실을 꿈꾸는 문학의 힘을 믿는다. 그 문학의 힘을 섬세한 언어로 표현하는 것, 나아가 이로부터 또 다른 세상에 대한 가능성을 모색하는 것이 비평의 몫이라고 생각한다.

-----------------------------------------------------------------------------------------------

 

 


전성호
(지은이)

 

저녁 풍경이 말을 건네신다

1951년 경남 양산(서창)에서 태어나 동아대 경영학과와 중앙대 예술대학원 문예창작과정을 졸업했다. 2001년 『시평』에 「기관구를 엿보며」 외 5편을 발표하며 작품활동을 시작했다. 시집으로 『캄캄한 날개를 위하여』와 시산문집 『지속되는 사랑, 미얀마』가 있다. 현재 미얀마에서 10년째 살고 있다.

 

----------------------------------------------------------------------------------------------

 

정문주
(그린이)

 

나무 잎사귀 뒤쪽 마을 | 탄광마을 아이들

 

정문주_1965년 서울 종로에서 태어나 상명대학교를 졸업했다. 『툭』, 『탄광 마을 아이들』, 『나의 비밀 일기장』, 『전학 간 윤주 전학 온 윤주』, 『걱정쟁이 열세 살』, 『내 이름은 개』등의 책에서 밝고 따뜻한 삽화들을 그렸다. 현재 프리랜서 일러스트레이터로 활동 중이다.

 ----------------------------------------------------------------------------------------------

 


정영주
(지은이)

 

말향고래 | 아버지의 도시

 

정영주 시인은 1952년 서울에서 태어나 강원도 춘천, 묵호에서 성장했다. 춘천여고, 광주대학교 대학원 문예창작학과를 졸업하고 단국대학교 대학원 문예창작학과 박사과정을 수료하였다. 1999년 『대한매일』 신춘문예에 「어달리의 새벽」이 당선되어 작품 활동을 시작했으며, 시집으로 『아버지의 도시』가 있다.

 

-----------------------------------------------------------------------------------------------

 


정용주
(지은이)

 

인디언의 女子

 

정용주 시인은 1962년 경기도 여주에서 태어났으며, 2005년 계간 『내일을 여는 작가』 가을호에 시를 발표하면서 작품 활동을 시작하였다. 2003년부터 치악산 금대계곡 해발 칠백 미터에 있는 화전민의 흙집에서 5년째 혼자 살고 있다. 산문집으로 『나는 숲속의 게으름뱅이』(김영사, 2007)가 있다.

 

                            ----------------------------------------------------------------------------------------------

 


정우영
(지은이)

 

살구꽃 그림자

정우영_1960년 전북 임실에서 태어났다. 숭실대 국문과를 졸업하고 1989년 『민중시』로 작품활동을 시작했다. 시집으로 『마른 것들은 제 속으로 젖는다』와 『집이 떠나갔다』가 있으며 시평 에세이 『이 갸륵한 시들의 속삭임』을 펴냈다.

 

-----------------------------------------------------------------------------------------------

 


정윤천
(지은이)

 

구석

 

정윤천 시인은 1960년 전남 화순에서 태어났다. 광주대학교를 졸업하였고, 1990년 『무등일보』 신춘문예에 당선된 뒤, 1991년 『실천문학』 여름호에 신인 작품을 발표하며 작품 활동을 시작하였다. 시집으로 『생각만 들어도 따숩던 마을의 이름』, 『흰 길이 떠올랐다』, 『탱자꽃에 비기어 대답하리』 등이 있다. 계간 『시와사람』 편집위원으로 활동 중이며, 현재 제주도의 ‘제주유람선’에서 홍보이사로 일하고 있다.

 

-----------------------------------------------------------------------------------------------

 


정철훈
(지은이)

 

소설 김알렉산드라

정철훈_ 전남 광주에서 태어나 서울에서 자랐다. 국민대 경제학과를 졸업했으며 러시아 외무성 외교과학원을 수료하고 「10월혁명 시기 러시아 극동에서의 한민족해방운동」으로 역사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1997년 『창작과비평』 봄호에 「백야」 등 6편의 시를 발표하며 작품 활동을 시작했다. 장편소설 『인간의 악보』, 『카인의 정원』과 시집 『살고 싶은 아침』, 『내 졸음에도 사랑은 떠도느냐』, 『개 같은 신념』이 있으며,『소련은 살아 있다』, 『김알렉산드라 평전』, 『옐찐과 21세기 러시아』, 『뒤집어져야 문학이다』 등의 저서가 있다.

 

-----------------------------------------------------------------------------------------------

 


조선희
(지은이)

 

햇빛 찬란한 나날

조선희 1960년 강릉에서 태어남. 『한겨레』 기자와 『씨네21』 편집장으로 일함. 2002년에 장편소설 『열정과 불안』을 펴냄. 에세이집 『정글에선 가끔 하이에나가 된다』, 『그녀에 관한 7가지 거짓말』이 있음.

 

-----------------------------------------------------------------------------------------------

 


조성국
(지은이)

 

슬그머니

 

조성국 시인은 1963년 광주 염주부락에서 태어났으며, 1990년 『창작과비평』 봄호에 「수배일기」 연작 7편을 발표하면서 작품 활동을 시작했다.

 

                           -----------------------------------------------------------------------------------------------

 


조영관
(지은이)

 

먼지가 부르는 차돌멩이의 노래

1957년 전남 함평에서 태어났다. 서울시립대 영문과를 졸업하였고, 2002년 『실천문학』 신인상에 「1998년 겨울, 영종도」 외 4편의 시가 당선되어 등단하였다. 1986년 이후 건설 일용 노동자와 용접공 생활을 하면서 노동운동현장에서 활동하다가 2007년 2월 20일 간암으로 타계하였다.

 

-----------------------------------------------------------------------------------------------

 


조영석
()

 

선명한 유령

 

조영석 시인은 1976년 서울에서 태어났다. 연세대 국문과와 서울예대 문창과를 졸업하였고 2004년 「초식」 외 6편의 시로 『문학동네』 신인상을 수상하며 작품 활동을 시작하였다.

 

-----------------------------------------------------------------------------------------------

 


조재도
(지은이)

 

내 무거운 책가방 - 교육시선집 | 백제시편 | 선생님과 함께 읽는 윤동주 | 이빨 자국

조재도 시골의 밤, 모두 잠든 어두운 시간. 말하지 못하는 형과 그에게 말을 가르치는 동생 둘만 깨어 있곤 했다. “왜 말을 못 할까?” “형은 자기 생각을 뭐로 보여줄까?” 형은 대답은커녕 ‘엄마’라는 말 한마디만 겨우 따라하는 정도니, 동생의 질문은 부메랑처럼 고스란히 자신에게 되돌아오곤 했다. 밤의 말을 찾던 그 소년이 바로 『이빨 자국』의 저자다. 소년 조재도는 말을 가르치며 말에 대해 질문했던 그 순간, 이미 ‘시인’이자 ‘선생님’으로 살기 시작했다. 20여 년간 교직에 있었던 『이빨 자국』의 작가 조재도는 일곱 권의 시집을 낸 시인이다. 1985년 교육 현실에 문제를 제기한 교사들의 문예지 『민중교육』에 「너희들에게」를 발표하며 작품 활동을 시작해 『교사일기』 『그 나라』 『백제시편』 『좋은 날에 우는 사람』 등의 시집을 펴냈다.

 

                            -----------------------------------------------------------------------------------------------

 


조정
(지은이)

 

땅과 사람의 역사 | 이발소 그림처럼

 

조정 시인은 1956년 전남 영암에서 태어나, 2000년 『한국일보』 신춘문예에 시가 당선되어 등단하였다.

 

                            -----------------------------------------------------------------------------------------------

 


조정래
()

 

땅과 사람의 역사 | 인간 연습

조정래 1943년 전남 승주 선암사에서 태어났다. 1966년 동국대 국문과를 졸업하였으며, 1970년 『현대문학』으로 등단하였다. 단편집 『어떤 전설』, 『20년을 비가 내리는 땅』, 『황토』, 『恨, 그 그늘의 자리』, 중편집 『유형의 땅』, 장편소설 『대장경』, 『불놀이』, 대하소설 『태백산맥』, 『아리랑』, 『한강』 등을 출간하였으며, 현대문학상, 대한민국문학상, 성옥문화상, 동국문학상, 소설문학작품상, 단재문학상, 노신문학상, 광주문화예술상, 만해대상 등을 수상했다.

 

 

----------------------------------------------------------------------------------------------

 


조향미
(지은이)

 

 

그 나무가 나에게 팔을 벌렸다

 

조향미 시인은 1961년 경남 거창에서 태어났다. 부산대 국어교육과를 졸업하였고, 1984년 무크지 『전망』을 통해 작품활동을 시작하였다. 시집으로 『길보다 멀리 기다림은 뻗어 있네』, 『새의 마음』이 있다. 현재 부산 문현여고에 재직 중이다.

 

 

-----------------------------------------------------------------------------------------------

 

 


조헌용
(지은이)

 

햇볕 아래 춤추는 납작거북이

조헌용_전남 고흥에서 태어나 전북 군산에서 자랐다. 1998년 『동아일보』 신춘문예에 중편 「새만금 간척사업에 대한 소고」가 당선되어 작품활동을 시작했다. 소설집으로 『파도는 잠들지 않는다』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