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물면서 빛나는 바다
황지우
|
긴 외다리로 서 있는 물새가 졸리운 옆눈으로
맹하게 바라보네, 저물면서 더 빛나는 바다를
맹하게 바라보네, 저물면서 더 빛나는 바다를
*
세상의 모든 강물은 바다로 흘러들어가고, 이제 한 해 동안의 기나긴 여정은 바다만한 침묵 속으로 흘러들어간다. 어쩌면 눈부신 것은 소멸일진저! 생동하는 소멸의 아름다움일진저! 해가 수평선 쪽으로 낮아지면서 바다가 더 빛난다는 것은 관찰과 통찰이 동시에 이루어진 드문 예에 속한다. '저물면서 더 빛나는 바다'란 다가오는 어둠의 순간들을 충실히 살아냄으로써 우리 삶이 더 반짝일 수 있다는 장엄한 역설을 찰나에 보여준다.
그러니, 저 맹한 물새 발자국을 들여다보면 또한 알게 된다. 물새가 앞을 향해 걸어갈 때 그 발자국은 화살표 모양이 되어 뒤쪽을 향하고 있다는 것. 물새는 전진과 후진을 동시에 할 줄 안다는 것. 뜨지도 감지도 않은 반가사유상의 저 졸린 '옆눈'은 자신의 발자국처럼 정면과 후면을 동시에 끌어안은 채 빛과 어둠이 별개의 것이 아님을 넌지시 보여준다.
해가 저무는 풍경이 음악이라면, 이제 내 가슴은 수평선을 일현금 삼아 울리는 공명통이다. 이 여운을 좀 더 멀리 보내기 위하여 나는 저물어가는 순간들을 향해 한 발짝 더 걸음을 옮겨야 하리라. 그리고 비상하는 존재의 지나온 발작구과 '옆눈'을 생각해야 하리라. 남해 유자빛으로 물들어가는 해가 수평선을 퉁, 울리며 떨어진다. 하나의 현 위에서 수만 개의 음들이 파도를 일으키며 밀려든다. 남해 노도 앞바다 벽련마을 동백은 그 파도를 끌어 덮고 잠이 들면서 자신의 중심을 노을빛으로 찬찬히 물들여갈 것이다.
'손택수 시인의 지상에 시 한 편'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이중섭의 소 (0) | 2009.01.06 |
---|---|
세모 이야기 (0) | 2008.12.31 |
나무 빨래판 (0) | 2008.12.29 |
고요한 밤 거룩한 밤 (0) | 2008.12.29 |
겨울 가지 (0) | 2008.12.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