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학문제의 해법을 모색한다 (2012) 대다수 사학들이 겪고 있는 우리 교육의 현실 사학 비리, 부패사학, 족벌사학, 사학분규 등등 사학이 한국 교육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지대함에도 불구하고 사학 하면 비리나 부패 그리고 분규와 같은 부정적인 말이 쉽게 연상된다. 한국 교육의 초창기부터 사학은 국가의 여력이 부족한 .. 실천교양선/일반 2013.08.02
체 게바라, 혁명의 경제학 (2012) ‘혁명’의 아이콘으로 전 세계를 매료시킨 체 게바라에 관한 새로운 문제작 『체 게바라, 혁명의 경제학(Che Guevara, The Economics of Revolution)』이 출간되었다. 그동안 실천문학사는 『체 게바라 평전』(2000)으로 대중들에게 ‘게바라’를 선구적으로 알린 데 이어『체 게바라의 홀쭉한 배낭.. 실천교양선/일반 2013.08.02
끝에서 바라본 문학의 미래 (2012) 2006년 『문화일보』 신춘문예로 등단한 비평가 이경재가 두 번째 평론집 『끝에서 바라본 문학의 미래』를 상재했다. 첫 평론집 『단독성의 박물관』이 “존재의 단독성을 철저하게 인식하는 우리 시대 작가들을 향한 공감과 연대의 비평”이었다면 이번 평론집은 작품과 작가에 대한 .. 실천교양선/일반 2013.08.02
사막에서 리얼리즘 (2011) 2007년 『경향신문』 신춘문예로 등단한 신예비평가 장성규가 첫 평론집 『사막에서 리얼리즘』을 상재했다. 제목에서 알 수 있듯, 그가 바라보는 바로 지금 후기자본주의 시대는 ‘사막’이다. 그는 이 ‘사막’을 가로질러 건너가기 위한 문학의 주요 수단으로 주저 없이 ‘리얼리즘’.. 실천교양선/일반 2013.08.02
모욕당한 자들을 위한 사유 (2011) 2002년 『경향신문』 신춘문예로 등단한 소장 문학평론가 오창은이 두 번째 평론집 『모욕당한 자들을 위한 사유』를 상재했다. “끊임없이 문학의 가치에 대해 회의함으로써 문학의 가치를 옹호”했던 첫 평론집 『비평의 모험』에 이어 6년 만에 펴낸 것으로 제목에서 미루어 짐작할 .. 실천교양선/일반 2013.08.02
리얼리즘의 시정신 (2010) 최두석 평론집 『리얼리즘의 시정신』이 18년 만에 재간행되었다. 1980년대 말, 시에서의 ‘리얼리즘 논쟁’을 촉발하며 리얼리즘시론을 선도했던 저자의 첫 평론집인 만큼 개정판 출간의 의미도 깊다. 1992년 초판 출간 당시 이 책이 시문학에서의 리얼리즘 논쟁을 정리하는 정본이었다면.. 실천교양선/일반 2013.08.02
노무현 시대와 디지털 민주주의 (2010) ‘노무현 시대’와 한국 미디어 정치의 현주소 한국 민주화의 과정과 미디어의 정치적 역할 및 그 상관관계에 관한 책이 실천문학사에서 출간되었다. 2002년, 인터넷을 활용한 선거운동을 통해 대통령에 오른 고 노무현 전 대통령과 이후 탄핵사태로 촉발된 민주주의의 위기를 극복해가.. 실천교양선/일반 2013.08.02
그랑빌 우화-동물들의 공생활과 사생활 (2010) 풍자와 재미, 상상력을 두루 갖춘 19세기 프랑스의 대표적 우화소설. 이름 없는 곤충들을 내세워 사랑을 이야기하고, 나비와 두꺼비를 통해서 인간의 미추를 생각하며, 누에를 통해 삶과 죽음의 경계를 느낀다. 150여 컷에 이르는 감각적이고 예민한 삽화와 함께 펼쳐지는 그랑빌의 끝없는.. 실천교양선/일반 2013.08.02
지금 내리실 역은 용산참사역입니다 (2009) 또다시 “이것은 사람의 말” “아직 싸움은 끝나지 않았다. 정의는 승리할 것이고 희망은 배반되지 않을 것이다” 2009년 들어 그간 어렵게 일궈온 한국 민주주의의 위기를 논하는 목소리가 조금씩 터져 나오기 시작했다. 쌍용자동차 파업과 용산참사 등 일련의 사회적 사건들이 강제로 .. 실천교양선/일반 2013.08.02
문학 제국 (2009) 문학평론가 최강민이 등단한 지 8년 만에 첫 번째 평론집 『문학 제국』을 세상에 내놓았다. 『문학 제국』은 2002년 등단한 이래, 비평계의 최전방 공격수를 도맡아온 한 소장 평론가의 메타비평집이다. 저자는 “문제는 이러한 비판적 진단 자체를 금기시하는 문단의 분위기이다. 나의 .. 실천교양선/일반 2013.08.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