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소년을 위한 고전산문 다독다독 (2013) 고전 독해의 지름길을 찾아라! 고전산문 이해의 정식 길라잡이 밑줄 없이, 교과서 고전산문의 ‘감’을 잡다 고전산문은 국어 영역에서 학생들에게 가장 어렵고 지루한 영역으로 꼽힌다. 고전 작품은 옛사람들의 정서와 시대를 고려하며 천천히 읽어야 하지만, 우리는 문제 풀이를 위해 .. 담쟁이/담쟁이 문학교실 2013.08.01
과학실에서 읽은 시 (2013) 문학적 상상력으로 피어난 과학의 원리! 청소년에게 필요한 융합 사고력 기르기 시 속에 숨은 과학적 원리를 찾아라! 성격이 전혀 다른 문학(시)과 과학이 만난다면 사람들은 어떤 반응을 보일까? 일반적으로 생각해보면 문학은 주관적인 감정과 상상력을 바탕으로 한 허구의 영역에 속.. 담쟁이/담쟁이 문학교실 2013.08.01
도종환의 오장환 시 깊이 읽기 (2012) 이 책은 도종환 시인이 남과 북에서 버림받았던 오장환 시인의 작품을 골라 엮고, 친절하게 해설했다. 그가 읽었던 오장환 작품을 일반인과 청소년을 위해 다시 한 번 꼼꼼히 읽고, 작품을 풀이한 해설서라고 할 수 있다. 그렇다면 도종환 시인은 왜 ‘오장환 시 해설서’를 썼을까? 요즘 .. 담쟁이/담쟁이 문학교실 2013.08.01
교실 밖으로 걸어 나온 시 (2012) 한국 문단이 주목하는 김선우 ․ 손택수 시인이 뭉쳤다! “시, 더 이상 공부하지 말고 즐겨라!” 우리네 학교 현실에서 문학은 ‘진학’과 ‘입시’라는 이름 앞에서 청소년들에게 왜곡돼 전달되기 일쑤다. 시험을 위해 시 작품에 대한 해석과 감상법이 천편일률적으로 정형화되어 ‘.. 담쟁이/담쟁이 문학교실 2013.08.01
선생님과 함께 읽는 신동엽 (2011) 신동엽은 우리 시문학사에서 역사적 구체성을 확보한 보기 드문 시인으로서, 역사를 그저 하나의 사건이 아니라 삶으로 노래했다. 민중의 삶이 역사가 되는 자리에 그의 시가 놓여 있다. 『선생님과 함께 읽는 우리 시 100』, 『교실에서 세상 읽기』 등 여러 권의 청소년 도서를 저술한 .. 담쟁이/담쟁이 문학교실 2013.08.01
선생님과 함게 읽는 김소월 (2011) 우리 민족의 혼과 정서를 아름다운 시어로 노래한 소월의 각 시편들에 시인 도종환 선생님의 해설을 붙여 엮은 시집. 김소월의 시 115편이 짧은 해설과 함께 실려 있다. 우리 시대의 탁월한 서정 시인으로 손꼽히는 도종환 시인이 각별한 애정을 담아 붙인 해설들은 시 한편 한편을 이해하.. 담쟁이/담쟁이 문학교실 2013.08.01
선생님과 함께 읽는 이상 (2011) 현란하고 자극적인 말과 글에 길들여져 있는 우리 청소년들에게 주옥같은 우리 글을 소개하고자 실천문학사와 현직 교사들이 함께 기획 편찬하는 ‘담쟁이 문학교실’ 열네 번째 권 『선생님과 함께 읽는 이상』이 출간되었다. 이 시리즈는 그동안 『선생님과 함께 읽는 우리 시 100』, .. 담쟁이/담쟁이 문학교실 2013.08.01
선생님과 함께 읽는 한용운 (2011) 청소년의 눈높이에서 자상하게 조망한 한용운의 시세계 향가, 고려가요, 한시, 시조 등 전통문학을 현대적으로 계승하면서도 외래문학을 비판적·주체적으로 수용해 한국 '최초의 근대시인'이라 불리는 한용운. 복잡하거나 어려운 어휘 사용 없이 한용운의 시세계를 자상하게 해설하며 .. 담쟁이/담쟁이 문학교실 2013.08.01
선생님과 함께 읽는 우리 소설 2 (2011) 실천문학사의 담쟁이교실 시리즈 중 하나인 『선생님과 함께 읽는 우리 소설 』이 개정판으로 재출간되었다. 이 책은 일제시대의 현진건, 채만식으로부터 1960~1970년대의 김승옥, 황석영을 거쳐 오늘의 박완서, 윤정모, 임철우, 김원일, 공선옥에 이르기까지, 우리 소설문학사에 길이 남을.. 담쟁이/담쟁이 문학교실 2013.08.01
선생님과 함께 읽는 우리소설1 (2011) 실천문학사의 담쟁이교실 시리즈 중 하나인 『선생님과 함께 읽는 우리 소설』이 개정판으로 재출간되었다. 이 책은 일제 시대의 현진건, 채만식으로부터 1960~1970년대의 김승옥, 황석영을 거쳐 오늘의 박완서, 윤정모, 임철우, 김원일에 이르기까지, 우리 소설문학사에 길이 남을 주옥같.. 담쟁이/담쟁이 문학교실 2013.08.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