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책은 도종환 시인이 남과 북에서 버림받았던 오장환 시인의 작품을 골라 엮고, 친절하게 해설했다. 그가 읽었던 오장환 작품을 일반인과 청소년을 위해 다시 한 번 꼼꼼히 읽고, 작품을 풀이한 해설서라고 할 수 있다. 그렇다면 도종환 시인은 왜 ‘오장환 시 해설서’를 썼을까?
요즘 사람들이 오장환의 시를 읽는 것은 쉬운 일이 아니다. 왜냐하면 1930년대 활동했던 문인들의 어휘와 의미는 현재와 다르기 때문이다. 예를 들면 월향구천곡(月香九天曲」은 이렇게 시작한다. “오랑주 껍질을 벗기면/손을 적신다/향내가 난다”. 이 시 맨 앞에 나오는 요즘의 ‘오렌지’를 뜻하는 ‘오랑주’라는 말부터 이해되지 않아 읽기가 힘들다. 제목도 고답적이어서 정서적으로 잘 다가오지 않고 무슨 의미인지 쉽게 전달이 되지 않는다.
따라서 이런 어려운 어휘들 때문에 오장환 시를 읽을 때마다 작품 속으로 빨려 들어가는 것이 아니라 읽다가 막히게 되고 이해하기도 쉽지 않아 결국 오장환 시의 매력을 느끼기 전에 펼쳤던 시집을 덮어버리게 된다.
도종환 시인은 이런 점을 보완해 일반인들과 청소년들도 쉽게 오장환의 시를 즐기고 이해할 수 있게 이 책을 집필했다. 그래서 도종환 시인은 오장환의 시를 읽을 때마다 느꼈던 어려움을 해결하기 위해 작품을 꼼꼼히 읽기 시작했다. 모르는 시어가 있으면 각종 어휘 사전을 찾아 해결해나갔다. 한 편 한 편의 시마다 그 시가 씌어진 연대와 배경, 성격과 주제, 맥락의 연결 관계와 시어 속에 숨겨진 심리 상태를 분석하였고, 유형별로 분류하였으며, 이를 빼곡하게 연필로 기록하고 정리해나갔다. 이러한 도종환 시인의 노력이 결실을 맺어 『도종환의 오장환 詩 깊이 읽기』는 세상에 나오게 되었다
◆도종환이 들려주는 오장환의 시세계
이 책에서는 오장환 시인의 시 작품 77편을 다루고 있다. 1부에서는 동시와 초기 시들로 구성되었고, 2부에서 5부까지는 작품 발표된 순서를 기준으로 엮었다. 그동안 발표된 작품들에 비하면 적은 분량으로 보일 수 있으나 그만큼 오장환 시의 정수를 모았다는 얘기일 수 있으니, 학생들이나 일반인이 오장환 시세계를 음미하기에는 이 한 권이면 충분하리라 여겨진다.
도종환 시인은 오장환문학제를 오랫동안 해오면서 오장환과 관련된 많은 자료를 수집할 수 있었다. 생존해 있는 오장환 시인의 친인척과 친구들을 만나고, 오장환이 다니던 휘문고등학교에도 찾아가 그가 참여한 교지 『휘문』을 발견해내었다. 여기에 오장환이 「아침」, 「화염」, 「조개껍데기」 등의 시를 발표했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휘문』에서 오장환과 문예반원들이 함께 찍은 사진도 찾을 수 있었다. 이 중, 앞에 있는 두 편의 시는 오장환 시인이 16세 때 발표한 「목욕간」보다 앞서 쓴 시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방정환이 만들었던 잡지 『어린이』에 발표한 동시, 『조선일보』에 발표한 동시를 포함하여 44편에 이르는 동시를 찾을 수 있었다.
이처럼 이번 『도종환의 오장환 詩 깊이 읽기』는 도종환 시인이 발품으로 만든 오장환 시 해설서라고 할 수 있다.
◆ 오장환 시인에 대하여
오장환 시인은 백석, 이용악과 더불어 1930년대 후반 우리나라를 대표하는 시인이다. 1918년 충북 보은군 회인면 중앙리 140번지에서 태어난 오장환 시인은 1951년 34세의 젊은 나이에 병사하였다.
오장환 시인은 휘문고등학교를 다닐 때 정지용 시인에게서 시를 배웠다. 휘문고등학교 문예반 활동을 하면서 교지 『휘문』에 「아침」, 「화염」과 같은 시를 발표하고, 『조선문학』에 「목욕간」을 발표하면서 시인으로 활동하였다. 그때 그의 나이 열여섯 살이었다.
어려서 박두진 시인과는 안성초등학교를 같이 다녔으며, 일본 지산중학에 유학하고 온 뒤부터는 서정주, 김광균, 이육사 시인 등과 가깝게 지냈다.
일제말기 단 한 편의 친일시를 쓰지 않으면서 그 어둡고 궁핍한 시기를 견딘 오장환 시인은 신장병을 앓다가 병상에서 해방을 맞는다. 미소공동위원회가 결렬되면서 테러를 당해 치료할 곳을 찾아 남포로 갔고 거기서도 치료를 할 수 없어 모스크바 볼킨 병원으로 후송을 갔다. 그리고 한국전쟁의 와중에 치료를 받지 못한 채 34살의 나이에 안타깝게 세상을 떴다.
그의 시가 1930년대 시문학사에서 높이 평가되는 것은 생명파류의 시나 모더니즘 계열의 시라기보다 이용악, 백석 등과 함께 당대 현실을 사실적으로 그려낸 리얼리즘 시를 통해서이다. 오장환 시의 현실인식은 생명파에 속하면서도 생명파와 구분되는 독자성을 보여주며 모더니즘 계열의 시인에 속하면서도 모더니즘의 한계를 뛰어넘는 시적 성취를 보여준다. 이 점이 오장환을 “서정주, 이용악과 함께 시단의 3천재”로 불리게 한 요인이었을 것이다. 오장환의 이러한 현실인식은 해방 이후에도 지속되어, 이후 그의 시편에 고스란히 녹아 예술적 성취의 밑거름이 되었다.
지은이 _도종환
『접시꽃 당신』으로 잘 알려진 도종환 시인은 1954년 청주에서 출생하였다. 「오장환 시연구」로 충남대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그동안 펴낸 시집으로 『접시꽃 당신』, 『부드러운 직선』, 『슬픔의 뿌리』 등이 있다. 산문집으로 『사람은 누구나 꽃이다』, 『마음의 쉼표』, 등이 있으며, 동시집 『누가 더 놀랐을까』, 『선생님과 함께 읽는 시창작교실』, 『정순철 평전』 등을 펴냈다.
신동엽창작기금, 정지용문학상, 윤동주상, 백석문학상, 공초문학상 등을 수상하였다.
◆ 차 례
1부 바다|기러기|애기꿈|편지|내생일|섬골|별|정거장|가는비|늦은 봄|아침|화염|조개껍데기|목욕간|카메라 룸
2부 성씨보|향수|면사무소|성벽|우기|모촌|정문|해항도|어포|매음부|여수|종가|싸느란 화단|월향구천곡|황혼|고전|독초|경|화원|병실|호수
3부 적야|상렬|The Last Train|소야의 노래|헌사 Artemis|나폴리의 부랑자|무인도|나의 노래|북방의 길|불길한 노래|할렐루야|
4부 성탄제|산협의 노래|마리아|구름과 눈물의 노래|고향 앞에서|강을 건너|FINALE|첫서리|고향이 있어서|연화시편|여정|귀촉도|모화|길손의 노래|절정의 노래|양
5부 연합군 입성 환영의 노래|지도자|병든 서울|종소리|원씨에게|노래|붉은 산|강도에게 주는 시|다시 미당리|어머니의 품에서|성묘하러 가는 길|초봄의 노래|나 사는 곳|남포병원
부록 시인 연보|작품 연보|해설
'담쟁이 > 담쟁이 문학교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청소년을 위한 고전산문 다독다독 (2013) (0) | 2013.08.01 |
---|---|
과학실에서 읽은 시 (2013) (0) | 2013.08.01 |
교실 밖으로 걸어 나온 시 (2012) (0) | 2013.08.01 |
선생님과 함께 읽는 신동엽 (2011) (0) | 2013.08.01 |
선생님과 함게 읽는 김소월 (2011) (0) | 2013.08.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