담쟁이/담쟁이 문학교실

선생님과 함께 읽는 정지용 (2001)

실천문학 2013. 8. 1. 11:46

 

 

 

 

  

 

 

 

한국 문단의 가장 주목받는 시인이었으나 월북 이후 40여 년간 금지로 묶여 빛을 발하지 못했던 시인 정지용. 120편에 달하는 그의 빛나는 시편 가운데 엄선한 수작들을 '동심과 고향', '바다', '신앙', '산', '사랑과 절망과 혼돈'이라는 큰 주제 안에 묶어 그의 삶과 시세계를 조망했다. 각각의 시편마다 이해를 돕는 짧막한 해설을 덧붙였고, 요즘에 잘 쓰이지 않는 시어들은 따로 풀이해 청소년들이 보다 쉽게 접근하도록 했다.


한국 문단의 가장 주목받는 시인이었으나 월북 이후 40여 년간 금지로 묶여 빛을 발하지 못했던 시인 정지용. 120편에 달하는 그의 빛나는 시편 가운데 엄선한 수작들을 '동심과 고향', '바다', '신앙', '산', '사랑과 절망과 혼돈'이라는 큰 주제 안에 묶어 그의 삶과 시세계를 조망했다. 각각의 시편마다 이해를 돕는 짧막한 해설을 덧붙였고, 요즘에 잘 쓰이지 않는 시어들은 따로 풀이해 청소년들이 보다 쉽게 접근하도록 했다.

저자 정지용
1902년 충북 옥천 출생으로 휘문보고를 거쳐 일본 도지샤 대학 영문과를 졸업했다. 1922년 『풍랑몽』을 쓰면서 시인의 길로 들어섰다. 『시문학』동인으로 활동하였고, 휘문보고의 교원을 거쳐 해방 후 이화여전 교수, 경향신문 주간, 조선문학가 동맹 중앙집행위원 등을 역임하였다. 1950년 6, 25가 일어나자 정치보위부에 구금되었다가 평양감옥으로 이감된 후 사망한 것으로 알려진다. 시집으로는 『정지용 시집』,『백록담』,『지용시선』이 있고, 산문집으로『문학독본』,『산문』이 있다.

엮은이 김성장
1959년 충북 청주 출생으로 충북대 국어교육과를 졸업했다. 1988년 <분단시대> 동인으로 시 창작활동을 시작했고, 현재 고등학교에서 국어를 가르치고 있다. 시집으로는 『서로 다른 두 자리』,현장수업실천사례집으로 『모둠 토의 수업방법 10가지』가 있다.

1. 그곳이 차마 꿈엔들 잊힐리야 - 동심과 고향에 관련된 시
향수
옛이야기 구절
고향
자류(柘榴)
가모가와
조약돌
띠/할아버지/홍시/병
종달새
산엣 색시 들녘 사내

2. 뿔뿔이 달아나는 바다 - 바다에 관현된 시
선취(船醉) 2
선취(船醉) 1
갑판(甲板) 위
바다 9
바다 위
갈매기
바다 1
풍랑몽(風浪夢)
바다 4
해협

3. 나의 눈보다 값진 이 - 신앙에 관련된 시
불사조(不死鳥)
다른 한울
그의 반
나무
갈릴레아 바다

4. 숨어 있는 고요함 - 산에 관련된 시
장수산(長壽山)
옥류동(玉流洞)
나비
구성동(九城洞)
백록담(白鹿潭)
진달래

5. 그 밖의 시들 - 사랑과 절망과 혼돈의 시절
엽서에 쓴 글
파라솔
카페 프란스
유리창 1
발열(發熱)

시계(時計)를 죽임
이토(異土)
그대들 돌아오시니
나비

정지용 문학기행
정지용 연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