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삶이 외친 시, 역사가 된 노래" _실천시선 30여 년의 대기록들
한국 현대시사의 전개과정에서 주요한 흐름을 대변해온 실천시선이 통권 200호를 맞아 기념 시선집을 펴냈다. 실천시선은 1984년 『시여 무기여』를 시작으로 최근 출간된 고형렬 시집 『유리체를 통과하다』까지 28년간 총 199권을 출간한 바 있다. 오랫동안 실천시선의 기획위원으로 활동한 최두석 시인, 박수연 문학평론가가 개별 시집들의 대표작 한 편씩만을 엄선해 총 128편의 작품을 수록했다. 이번 200호 기념 시선집 『나는 상처를 사랑했네』는 한국 리얼리즘 문학의 총화이자 한국시의 드넓은 지형을 한눈에 살펴볼 수 있는 지침서가 될 것이다.
실천시선의 출발은 문학잡지 발간이 자유롭지 못하던 1984년에 신인작품집으로 나온 『시여 무기여』이다. 고재종 ‧ 김해화 등의 등단 지면이기도 한 이 시집은, 이른바 무크지와 동인지의 시대였던 당시의 상황을 대변하는 사례이다. ‘시여 무기여’라는 표제가 시사하듯 시를 통해 독재에 저항하던, 운동으로서의 문학을 요구하던 시대의 산물이자 곧 이것이 실천시선의 출발이었던 것이다.
현장과 참여, 저항과 서정의 시 세계를 총망라
초기 실천시선에는 시선집이 주로 기획되었다. 옥중시, 저항시, 노동시, 농민시, 교육시 등의 주제별 선집이나 반시, 목요시, 자유시, 삶의문학 등의 동인별 선집이 기획되어 간행되었다. 또한 팔레스티나 민족시집, 아프리카 민요시집, 폴란드 시집, 등을 통해 제3세계에 대한 유대와 관심을 표출하기도 하였다. 민주화로 활로를 찾고자 하던 시대정신이 시와 결부되어 나타난 기획들이었다.
그러다 동인지 활동을 하던 시인들도 각자 자신의 이름으로 시집을 간행하는 시기가 도래했다. 그리하여 실천시선도 개인 시집을 지속적으로 간행하게 되었다. 이 200호 기념 시선집은 그동안에 간행된 개인 시집을 대상으로 하였다. 서사 시집 혹은 장시집은 제외하고 여러 권의 시집을 낸 시인들의 경우 한 편씩만 수록하는 것을 원칙으로 128편으로 시선집을 꾸렸다.
고은, 신경림, 김남주, 도종환, 김지하, 허수경 등 한국 대표 시인들의 대표 시집들
실천시선을 통해 이미 시의 정전이된 작품들과 대중적 인기를 모은 베스트셀러도 상당수 출간됐다. 양성우의 『靑山이 소리쳐 부르거든』, 강은교의 『오늘도 너를 기다린다』, 김남주의 『나의 칼 나의 피』, 김지하의 『애린 1, 2』, 신경림의 『가난한 사랑노래』, 허수경의 『슬픔만 한 거름이 어디 있으랴』 등은 한국 현대시사의 중요한 작품집으로 꼽힌다. 도종환의 『접시꽃 당신』은 100만 부 이상의 판매를 올리기도 했다.
200호 기념 시선집은 ‘시의 시대’인 80년대를 주도한 대표작품과 90년 이후 민중 ․ 노동 ․ 참여시의 변모 양상, 2000년 이후 스펙트럼이 넓어진 리얼리즘 시를 총망라한다. 문익환의 「난 뒤로 물러설 자리가 없어요」, 백무산의 「삶의 거처」 등 1980~1990년대를 대표하는 참여시를 비롯해 강은교의 「우리가 물이 되어」, 조용미의 「벽오동나무 꽃그늘 아래」, 박후기의 「종이는 나무의 유전자를 갖고 있다」 등의 서정시, 그리고 김사이, 최종천, 황규관 등 2000년 이후 쓰여진 리얼리즘적 경향의 시 등을 다양하게 엮었다. 시선집의 1부는 1955년부터 1979년까지 등단한 시인들로 구성되었다. 4 ․ 19와 5 ․ 16 등 한국 현대사의 큰 굴곡을 지나면서 형성된 시인들의 굳건한 내면이 잘 드러나 있다. 2부는 1980년부터 1987년까지 등단한 시인들로 엮었다. 특히 이 시기 일부 시인들은 1980년 광주항쟁이라는 커다란 외상을 충실히 기록하고 오롯이 기억해내는 것으로 극복과 치유의 한 방법을 꾀하기도 한다.
1988년에서 1997년 사이에 등단한 시인들로 엮인 3부는 제도적으로 정착된 민주주의와 이념이 사라진 시대의 한 개인의 내면들이 다양하게 드러나 있다는 점이 특징이다. 여성 ‧ 생태 등의 시편들이 비중 있게 등장한 점도 눈에 띈다. 4부는 1997년 이후 등단한 시인들로 IMF 이후 개인의 삶과 여전히 녹록지 않은 노동자 ‧ 민중들의 삶 사이에서 고뇌하는 시인들의 모습이 특징적으로 드러난다.
추천의 글
봄의 진통을 견디고 피어난 200송이 여름꽃 !
서울의 봄’이 무르익어가던 1980년 5월 광주, 민중들의 함성을 짓밟고 쳐들어온 군홧발에 민주화의 열망은 무너지고 아스팔트는 피로 물들었다. 그 절망의 거리에서 시인 김준태는 예언처럼 노래한다. “하느님도 새 떼들도 / 떠나가버린 光州여 / 그러나 사람다운 사람들만이 / 아침저녁으로 살아남아 / 쓰러지고, 엎어지고, 다시 일어서는 / 우리들의 피투성이 도시여”(「아아 光州여! 우리나라의 十字架여!」) .
노래는 살아남은 자들의 가슴에서 가슴으로 전해져 온 나라에 희망의 인간 띠를 만들어냈으니, 가장 참혹한 폭력은 역설적으로 새로운 문학의 출산을 위한 진통이었던 것! 그러므로 여기 선배시인 고은의 화답을 들어보라. “가자 우리에게 갈 길 수천만 갈래가 있다 / 그냥 이대로 앉아 다리 꼬고 늙어빠질 수 없다 / 오 평등 오 자유 거리에 있다 숨은 골목에 있다 / 우리가 가는 곳마다 그것이 태어난다”(「무릎 걷어올리고」) .
이렇게 1984년 신인작품집『시여 무기여』를 앞세운 한국시의 또 하나의 교두보 ‘실천시선’은 태어났다. 그로부터 28년의 세월이 흘러 이제 『200호 기념 시선집』에 이르렀다. 그것을 굳이 200계단 금자탑이라고는 말하지 말자. 그러나 나는 그것이 역사의 제단에 바쳐진 200송이 꽃다발이라고 느낀다. 그사이 세상은 얼마나 많이 달라지고 시를 움직이는 언어의 동력은 또 얼마나 무섭게 변했는가. 그러나 이 200권을 관통하는 부동의 문학적 핵심이 있음을 놓칠 수 없으니, “오 평등 오 자유 거리에 있다” —이 한 구절에 농축된 저항의 정신이 그것 아니겠는가. 이제 다시 28년의 세월이 흐른 2040년에도, 아니 그보다 열 배 스무 배의 시간이 흐른 뒤에도 ‘실천’의 광채가 빛나기를 바라는 까닭이 거기 있다. _염무웅(문학평론가)
엮은이 약력
박수연
문학평론가. 1998년 『서울신문』 신춘문예로 등단했다. 평론집 『문학들』, 『말할 수 없는 것과 말해야만 하는 것』과 공저로 『라깡과 문학』, 『친일문학의 내적 논리』 등이 있다. 현재 충남대학교 국어교육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최두석
시인 ‧ 문학평론가. 1980년 『심상』으로 등단했다. 시집으로 『대꽃』, 『임진강』, 『성에꽃』, 『사람들 사이에 꽃이 필 때』, 『꽃에게 길을 묻는다』, 『투구꽃』과 평론집으로 『리얼리즘의 시정신』, 『시와 리얼리즘』 등이 있다. 현재 한신대학교 문예창작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실천의 문학 > 시' 카테고리의 다른 글
벚꽃문신 (2012) (0) | 2013.08.12 |
---|---|
얼굴을 더듬다 (2012) (0) | 2013.08.12 |
내 안에 시가 가득하다 (2012) (0) | 2013.08.12 |
유리체를 통과하다 (2012) (0) | 2013.08.12 |
내 속에 숨어 사는 것들 (2012) (0) | 2013.08.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