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강산유기 (1998) 춘원 이광수가 1992년 문예지에 연재했던 금강산 기행문. 한국전쟁으로 훼손되기 이전의 금강산 풍경이 생생하게 담겨 있다. 이광수의 손으로 그려진 한 위대한 자연에 대한 이 비망록이 우리에게는 훼손되지 않은 금강산에 대한 '조선의 마지막 풍경'이요, '근대적 지식인이 본 첫 풍경'.. 실천교양선/여행서 2013.07.30
사라져가는 오지마을을 찾아서 (1998) 옛 모습 옛 방식대로 살아가는 사람들. 이제는 박물관에서나 볼 수 있는 우리네 풍경들을 찾아가는 인문교양서. 굴피집, 너와집 등의 원시형태의 집과 그 속에 간직된 애절한 전설까지 담아냈다. 여기에 현지인의 삶, 역사 흔적, 마을 스케치 등 3백여 장의 사진도 소중한 볼거리이다. 우.. 실천교양선/여행서 2013.07.30
금강산: 북한 사람들이 쓴 금강산의 모든 것 (1989) 금강산은 오랜 역사와 문화를 가지고 있는 우리나라의 가장 대표적인 명산이며 세계적으로 널리 알려진 명승지이다. 분단을 극복하고 통일의 길을 여는 데는 무엇보다도 민족 동질성을 회복하는 작업이 선행되어야 하며, 또한 지속적으로 이어져야 한다. 그런 점에서 이 책은 출판의 영.. 실천교양선/여행서 2013.07.30
박인환 전집 (2008) 지난 2006년 박인환 시인의 타계 50주년을 기념해 『박인환 깊이 읽기』를 펴낸 바 있는 맹문재 교수가 『박인환 전집』을 새로 엮었다. 이번에 간행된 전집에는 새로운 작품 열다섯 편이 수록되었으며 이를 통해 박인환의 작품 세계를 연구하는 데에 한층 더 유용한 기초자료가 마련되었.. 실천교양선/전집류 2013.07.30
흰 그늘의 미학을 찾아서 (2005) 한국이 낳은 가장 독보적이고 세계적인 사상가 김지하, 이 책은 그간 탐구 제기한 미학사상과 문명담론을 총정리하여 일단락 짓는 저술이다. ‘고리’를 원리로 하는 민족미학과 ‘그늘’을 최상승으로 하는 민중미학을 생명과 영성, 생명학적 변혁과 깊은 무의식의 명상을 두 기둥으로.. 실천교양선/전집류 2013.07.30
탈춤의 민족미학 (2004) 우리 연행예술인 탈굿 또는 마당굿을 중심으로 민족미학의 뼈대가 될 큰 범주를 다루고 있는 이 책은, 탈춤에 대한 독창적인 해석과 더불어 새로운 이론을 정립하여 민족미학의 중요한 기틀을 제공하는 저작이다. 1999년 부산의 민족미학연구소에서 진행된 '탈춤의 민족미학' 강의내용을 .. 실천교양선/전집류 2013.07.30
김지하 전집 3 미학사상 (전3권) (2002) 마침내 우리 앞에 놓인 김지하 사상의 집대성! 탁월한 시인이자 사상가인 김지하의 글 원고지 7,500여 장에 이르는 방대한 분량을 추스리고 다시 다듬어 철학/사회/미학 부문으로 나눈 [김지하 사상전집]. 1권 철학사상, 2권은 사회사상, 3권은 미학사상에 관한 글을 담았다. 김지하 시인을 .. 실천교양선/전집류 2013.07.30
김지하 전집 2 사회사상 (전3권) (2002) 마침내 우리 앞에 놓인 김지하 사상의 집대성! 탁월한 시인이자 사상가인 김지하의 글 원고지 7,500여 장에 이르는 방대한 분량을 추스리고 다시 다듬어 철학/사회/미학 부문으로 나눈 [김지하 사상전집]. 1권 철학사상, 2권은 사회사상, 3권은 미학사상에 관한 글을 담았다. 김지하 시인을 .. 실천교양선/전집류 2013.07.30
김지하 전집 1 철학사상 (전3권) (2002) 마침내 우리 앞에 놓인 김지하 사상의 집대성! 탁월한 시인이자 사상가인 김지하의 글 원고지 7,500여 장에 이르는 방대한 분량을 추스리고 다시 다듬어 철학/사회/미학 부문으로 나눈 [김지하 사상전집]. 1권 철학사상, 2권은 사회사상, 3권은 미학사상에 관한 글을 담았다. 김지하 시인을 .. 실천교양선/전집류 2013.07.30
오장환 전집 (2002) 근대 문명의 모순을 내부로부터 혁파하고자 한 한국 근대문학의 빼어난 시인 오장환. 월북 후 남에서도, 북에서도, 제대로 규명되지 않았던 그의 문학과 삶을 제대로 평가하고자 이 책을 출간하였다. 이 전집에서는 오장환의 첫 시집 『성벽』에서부터, 북한에서 출간된 마지막 시집으로.. 실천교양선/전집류 2013.07.30